졸업군부대 식사에 대한 만족도 및영양 공급실태에 대한 조사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1. 표준급식 기준 및 영양관리 목표 2. 장병의 활동량에 근거한 영양소 섭취 3. 군급식의 영양 권장량 Ⅲ.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의 대상 및 기간 2. 조사 내용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들의 신체계측지수 2.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사항 3. 조사대상자의 식습관 4. 조사 대상자들의 제공받는 군 급식의 섭취량 (하루 1인 1일) 5. 제공받은 급식의 식단 중 밥(백미)의 만족도 6. 소채류에 대한 만족도 7. 콩류에 대한 만족도 8. 수육류(햄)에 대한 만족도 9. 어패류에 대한 만족도 10. 국류에 대한 만족도 11. 찌개류에 대한 만족도 12. 튀김류에 대한 만족도 13. 무침류에 대한 만족도 14. 찜류에 대한 만족도 15. 볶음류에 대한 만족도 16. 별식류에 대한 만족도 17. 음식의 양 및 맛에 대한 만족도와 체격과의 상관관계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 1954년에는 한미 합동 급식위원회에서 영양섭취 기준량을 하루 1인당 3,800Kcal로 책정한 이후 (국방일보 1998), 현재의 군급식의 열량공급량도 이에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열량공급을 위해 90년 초까지 주식위주의 급식을 실시할 때에는 군대 급식이 충분한 주식과 부식 양 공급이라는 양적인 측면에만 치중된 것으로 추측되었다(김성윤 2002). 최근 정부시책에 따라 군부대급식이 확대되면서 우리 장병들은 부모님께서 차려주신 식사처럼 먹게 되었고, 장병가족들은 부대급식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부대급식 실시 실태는 여러 가지 어려운 재정과 여건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발전되어 2003년 병사들이 자율적으로 양을 조절하여 배식 할 수 있는 뷔페형식의 자율배식제도 마련 및 지원 체제가 확보되어 훈련소는 물론 야전부대, 사령부에 이르기까지 급 성장하여 2006년 3월 현재 군부대의 급식 개선으로 인한 자율배식 실시율은 100%에 이른다. 전국 1,400여개부대에서 매일 약 80만명의 장병들에게 급식을 실시하고 있다.GOP장병 부모들의 군부대급식 확대 요구에 따라 2008년까지는 최전방 GOP 급식도 확대하여 전군부대 연계 급식을 이룰 계획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이 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지속적으로 군 장병들의 기호도 및 급식만족도에 중점을 둔 질적인 급식서비스 개선을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기호도 및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급식에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군대의 구성원들은 입대전의 생활 배경이나 식생활 형태, 기호도가 다양한 개체들의 집단으로 이들의 건강 상태 및 체력은 한 나라의 국력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양권장량에 맞는 양적인 균형과 기호도, 식습관, 식생활 태도에 관한 조사를 토대로 식단을 작성하여 급식이 질적인 향상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Moon Sj, sohn KH, Yang IS, sohn CY, Kim DY. Development in computer program for standadized quantitative recipes in military service. Korean J Soc Food Sci7(3):61-69,1991 - Lee Ym,Joung YK, Yang IS, Sohn KH, Moon Sj, Kim KJ, Lee SG. A study on food behavior and preference of military personnel. Korean J Dietary Culture 6(4); 463-472,1990 - Lee HS, Han YS, Lss JM. A study of thecustomer satisfaction of military foodservice for their improvement. Kor J Community Nutrition 5(3);522-528,2000 등등(더 있음) 하고 싶은 말 도움이 되시길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