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12일 금요일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
[졸업][환경공학] Bacillus sp.의 소독 지표가능성평가.hwp


목차
A B S T R A C 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대체 지표 생물의 필요성
2.2 지표종의 선정 조건
2.3 현재 병원성균 처리지표의 한계와 제안

3. 조사방법
3.1. 시료 채취
3.2호기성 포자균의 준비 및 계수
3.3 미생물 배양을 위한 배지
3.4 바실러스 균의 불활성화 실험
3.5 CT값과 Log 제거율 계산
3.5.1 CT value
3.5.2. Log 제거율 계산

4. 실험결과 및 고찰
4.1 Bacillus sp. 와 Giardia CT 비교 결과
4.2 호기성 포자의 로그 불활성화 비교

5. 결론


본문
1. 서론

먹는물 처리공정의 발달과 처리기준의 강화로 수인성 병원균에 의한 집단발병 사례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처리수 수질 향상에도 불구하고 소독에 강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병원성 원생동물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다.
그 중 Giardia lamblia.는 동물의 체내에서 설사증을 일으키는 수인성 원생동물로서 체외에서는 물과 주변 환경에 잘 견디는 안정한 형태인 포낭(cyst)으로 자연계에 존재한다. 포낭은 견고하고 치밀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소독제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갖고, 경우에 따라 살균 처리한 음용수에도 생존한다. 이와 같은 병원균은 복잡한 분석방법, 낮은 농도에서 검출의 어려움, 경제성, 결과도출의 장시간 소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상시 검출은 쉽지 않은 실정이므로 병원성 원생동물 존재 여부를 판정할만한 지표종 연구가 시급하다.
원수에 다량으로 존재하던 병원성 원생동물이 처리수에서는 검출방법의 한계로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실제로는 훨씬 많은 수가 존재하므로 수인성 질병에 대한 위험성도 보고된 것보다 높다. 물론 수인성 질병을 가장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사전에 정수장에서 직접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감시하고 농도를 규제하는 것이지만 한계가 있으므로 현재 각국의 수처리 시설에서는 이런 방법보다는 원생동물 관리에 요구되는 정수장 시설 및 그 운전기준을 규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현 정수장에서 관리되고 있는 탁도 기준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생동물 크기의 총 입자수를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대부분 비병원성이나 환경수중에 고농도로 존재하고 포자를 형성하여 환경변화에 강한 호기성 포자균을 병원성 원생동물 함량지표종으로 연구한 결과도 나와 있다.
호기성 포자균은 대부분 비병원성으로 처리수의 효율 평가에 매우 효과적이고 원수 및 각 처리 공정에 고루 분포하며 검출하는데 1일 정도(21±1 hr)의 짧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처리 효율을 평가하는데 간접적인 대체 지표가 될 수 있고, 비용도 저렴한 편으로 경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우리나라 정수장을 대상으로 소독 내성이 크고 포자를 형성하며 원생동물보다 분석이 쉬운 호기성 포자균 중에서 높은 우점율을 보이는 바실러스 종의 불활성화 연구를 통해서 2004년부터 적용되는 Giardia CT기준을 대신할 지표종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하였다.


본문내용
in concern, is more resistant to disinfection than usual bacteria and is difficult to detect. As direct monitoring for waterborne pathogens such as G. lamblia is inaccurate,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viable surrogate is needed .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assess Bacillus sp. as a surrogate for Giardia cyst in water treatment plants.
1. Because CT value for inactivation of B. subtili

참고문헌
1) 김경주, 홍욱선, 이기세, 2001, “수인성 병원성 원생도물 Giardia lamblia배양과 Encystation 및 Giardia lamblia cysts의 염소소독에 관한 연구”,대한환경공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

2) 류재근, 1994, “음용수의 미생물 발생원인과 처리방법”, 음용수의 미생물 살균에 관한 심포지움

3) 박중현, 1994, “수돗물의 미생물학”, 대한상하수도학회 상수도기술서적

4) 윤제용 등, 1998, “CT 값에 의한 정수장의 소독능 평가”, 수질보전학회, 제 14권 4호, pp413~423

5) 이목영, 조은주, 김도연, 변승헌, 이의광, 오세종, 안승구, 2003“환경수 중 크립토스포리디움, 오시스트 및 지아디아 시스트 검출의 정확도 및 회수율 향상을 위한 연구”,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39, No.1, pp27-35

6) 이목영, 2003,“상수도의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 및 지표세균의 분포실태와 제어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환경부, 1991, 수질오염공정시험법(환경부고시 제91-85),환경부

8) 환경부, 2002, 정수처리에 관한 기준(환경부고시, 제 2002-106)

9) US-EPA, 1991, Guidance Manual for Compliance with the filtration and disinfection Requirements for Public Water systems using Surface Water Sources

10) Chick, H., 1908, An investigation of the laws of disinfection, J.Hygiene, Vol 8, 9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