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12일 금요일

졸업논문 생태공원의 현황과 나아가야할 방향

졸업논문 생태공원의 현황과 나아가야할 방향
[졸업논문] 생태공원의 현황과 나아가야할 방향.hwp


목차
1. 서 론1
1.1. 생태공원의 이론 1
1.2. 길동 자연생태공원 모니터링5
2. 조사지역8
2.1. 대상지 개항8
3. 분석 및 비교10
3.1. 식물상 개요10
3.2. 길동생태공원의 문제점26
3.3. 제도적 정책과 생태공원의 연관성31
4. 종합고찰 및 결론34
5. 참고문헌37



본문
생태공원(ecological park)은 현대 산업화된 도시의 무분별한 팽창과 개발우선주의에 따른 자연환경문제의 대두, 삶의 질을 추구하려는 가치관 변화로 인한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도 증가와 욕구충족, 경제적 측면에서 기존의 공원개념과 다른 비용의 절감 등의 이유로 대두된 새로운 유형의 공원이다. 생태공원은 일반적으로 생태적요소를 주제로 한 관찰, 학습 등이 이루어지고, 생태적 원리에 입각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도록 생태적 자원의 보호, 복원이 이루어지는 공원이다.
특히 도시 속에 조성되는 도시생태공원은 첫째, ‘도시속의 자연’으로서 위락, 탐미, 생산, 보호, 장식 등의 일반적인 도시공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둘째, 자연속에서 다양한 주제성을 가지고, 다른 공원에 배해 생태 환경적으로 비교우위성을 두고 조성되어 생태교육, 관찰 기능이 부여되어 있으며, 셋째, 환경의 구성요소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공존이 내재된 공간으로, 거대한 도시생태계의 한 구성요소로서 작용한다. 생태환경적 비교우위성을 두고, 자연을 교육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도시공원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생태공원은 도시속에 사라져가는 자연을 회복하기 위하여, 그리고, 도심에서 사라져가는 야생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본문내용
조사지역8
2.1. 대상지 개항8
3. 분석 및 비교10
3.1. 식물상 개요10
3.2. 길동생태공원의 문제점26
3.3. 제도적 정책과 생태공원의 연관성31
4. 종합고찰 및 결론34
5. 참고문헌37
<표 차례>
표 1. 생태공원 사례 3
표 2. 환경친화적 도시공간구조에서의 생태공원의 역할 4
표 3. 연도별 식물 종수의 변화 11
표 4. 2003~2004년 모니터링 결과 113
표 5. 2003~2004년 모니터링 결과 214
표 6. 2003~2004년 모니터링 결과 315
표 7. 2003~2004년 모니터링 결과 416
표 8. 2003~2004년 모니터링 결과 517
표 9. 2001~2004년 외래종의 상황 120
표 10. 2001~2004년 외래종의 상황 221
표 11. 2003~

참고문헌
고경식, 전의식. 2005. 한국의 야생식물. 일진사.

서울특별시의회. 2000. 중랑천 수생식물조사 및 식물을 통한 하천복원 대안제시.

생태공원에 관한 국제심포지음. 2003.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서울교원단체연합회.

생태공원조성 기본조사설계/경기도 편. 1998.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속 환경계획연구소.

생태보전시민모임. 서울특별시녹색서울시민위원회. 2000 길동자연생태공원활동보고서.

서울특별시녹지관리사업소. 길동자연생태공원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 2002, 2004.

전승훈, 차윤정, 최정권.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2000. 한국조경학회지.

이명균, 이동근, 최준영. 2004. 생태공원. 보문당.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