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12일 금요일

졸업식품공학과 천연물로부터의 Hyaluronidase 저해제

졸업식품공학과 천연물로부터의 Hyaluronidase 저해제
[졸업][식품공학과] 천연물로부터의 Hyaluronidase 저해제.hwp


목차
Ⅰ. 서론 2
1. 이론적 고찰 2
2. Hyaluronidase 저해제 개발의 목적 4

Ⅱ. 본론 5
1. 저해제 검색법 5
2. Elson-Morgan assay 5
1) 생약 및 자생식물의 엑스 제조 5
2) 계통 분획 5
3) 시료 용액의 제조 6
4) Hyaluronidase 활성 측정 6
3. Microplate assay 6
1) 생약 및 시료의 제조 6
2) Hyaluronidase 저해활성 측정 7
4. 목단피로부터의 hyaluronidase 저해물질 분리의 예 7
1) 생약 및 시료의 제조 7
2) 활성물질의 분리 8

Ⅲ.결론 9
1. Elson-Morgan assay에 의한 hyaluronidase 저해 활성 9
1) 메탄올엑스에서의 hyaluronidase 저해 활성을 가진 sample 9
2) 분획수준에서의 hyaluronidase 활성에 대한 효과 9
2. Microplate assay 10
1) 여러 천연물의 hyaluronidase 억제 효과 10
2) 목단피로부터 hyaluronidase 억제 물질 12
3) 지모로부터 분리한 hyaluronidase 억제 물질 12

Ⅳ. 요 약 14
참고문헌 15



본문
1. 이론적 고찰

Hyaluronidase는 mucopolysaccharide를 가수분해하는 효소로써 hyaluronic aci-d를 분해하는 작용 이외에 모세혈관 투과성에 관여하며 급성부종을 야기하는 기염제로 알려져 있다.

1929년 Duran-Reynals는 streptococcal bacteria의 한 군에서 확산인자를 발견했고, hyaluronic acid에 대해 탈 성능의 hyaluronidase라 명명하였다. 이 효소의 생리적 pH에서는 활성이 없고, pH3-4에서 가장 활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체내에선 불활성형으로 존재한다.
Hyaluronidase의 기질인 hyaluronic acid는 구조적으로는D-glucuronic acid와 N-acetyl-D-glucosamine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분자 다당류서 생체내의 extra- cellular matrix, biologic fluid 등에 편재되어 있다.1) 점액성을 가지는 mucopolysac- charide로서 태반, 피부, 대동맥, 눈의 초자체 액, 연골, 활액 등에 존재하며 extra- cellular matrix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connective tissues의 주요한 구성 성분이다. 정상상태에서는 세포막 또는 세포외핵의 여러 단백질들과 결합하고 있고, 조직에서 일정농도는 유지되지만 알레르기, 염증반응, 조직손상 등에 의해 그 양이 증가한다.

Hyaluronidase는 혈관투과성 염증반응에 관여하며4), 제1형 알러지의 전형적인 시험방법인 수동피부 아나필락시스 반응에 활성화되는 반면, 항알러지 약물 disodium-cromoglycate(DSCG) 등에 의해 저해된다. 이 효소는 금속이온 및 N-methyl-ρ- methoxybhenethylamine과 formaldehyde의 다중합체인 compound 48/80에 의해



본문내용

Hyaluronid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2005年 2月
천연물로부터의 Hyaluronidase 저해제
Hyaluronidase Inhibitors from Natural Products
2005年 2月
목 차
Ⅰ. 서 론 2
1. 이론적 고찰 2
2. Hyaluronidase 저해제 개발의 목적 4
Ⅱ. 본 론 5
1. 저해제 검색법 5
2. Elson-Morgan assay 5
1) 생약 및 자생식물의 엑스 제조 5
2) 계통 분획 5
3) 시료 용액의 제조 6
4) Hyaluronidase 활성 측정 6
3. Microplate assay 6
1) 생약 및 시료의 제조 6
2) Hyaluronidase 저해활성 측정 7
4. 목단피로부터의 hyalur

참고문헌
1. 노영균 , Hyaluronidase 활성에 대한 식물엑스의 억제효과 ,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 Orkin, R.W., and B.P. Tool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aluronidase from cultures of chick embryo skin-and muscle-derived, fibroblasts. J. Biol. Chem. 255:1036-1042 (1982)

3. Kaneda, M., Iitaka, Y. and Shibata, S.,Chemical studies on the oriental plant drugs. ⅩⅩⅩⅢ. Absolute structure of paeoniflorin. albiflorin, oxypaeoniflorin and benzoylpaeoniflorin isolated from Chinese paeony root., Tetrahedron.
28:4309-4317 (1972)

4. Meyer, K., The biological signifieance of hyaluronic acid and gyaluronidase Physiol, Rev. 27:335-359 (1990)

5. 정세준, 김나영, 안년형, 김윤철 , Micorplate방법을 이용한 hyaluronidase 저해 활성 검색원광대학교 , 한국생약학회지 28-3:131-137 (1997)

6. 정세준 , 천연물로부터 hyaluronidase 억제물질의 검색 및 분리 ,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7.10)

7. 유신애 , 수종의 알레르기 관련 약물이 흰쥐의 복강 내 비만세포에서
Hyaluronidase 및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영향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8. Takeya, K.,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rude drugs,
 

댓글 없음:

댓글 쓰기